PER,EPS계산 하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1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손익계산 3단계 : 세전이익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PER,EPS계산 하기 세전이익(법인세차감전순이익)

그 곳은 마음의 고향

2). 재산법에 의한 계산 : 기업의 기말순재산과 기초순재산의 차이를 단기순 재산으로 하는 것 .

기업활동을 통해 발생한 기말시점의 기말자본을 기초자본과 비교하여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자본끼리 비교하는 것으로 자본유지접근법이라고 도 한다 .

기초자본 – 기말자본 = 순손실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 기말자본

기말자본 = 기말자산 – 기말부채

기초자본 = 기초자산 – 기초부채

예 >. 기초자본이 1,000,000 원 회기중 유상증자가 250,000 원 . 배당등으로 지급된 유상증자가

50,000 원 인 경우 조정기초자본은 ?

조정기초자본 = 기초자본 + 유상증자 – 유상감자 = 1,000,000 원 + 250,000 – 50,000 = 1,200,000 PER,EPS계산 하기 원

예 >. 총수익이 2,700,000 원이고 , 총비용이 2,400,000 원인 경우 당기순이익은 얼마이고 기말자본은 ?

당기순이익 = 총수익 2,700,000 원 – 총비용 2,400,000 원 = 300,000 원이다 .

조정기초자본에 당기순이익이 300,000 원이므로 기말자본은 ?

기말자본 = 조정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 1,200,000 원 + 300,000 원 = 1,500,000 원이다 .

예 > 기말부채가 1,000,000 원인 경우 기말자산은 ?

기말자산 = 기말자본 1,500,000 원 + 기말부채 1,000,000 원 = 2,500,000 원이다 .

※따라서 손익법과 재산법에 의한 계산으로 당기순 이익이나 PER,EPS계산 하기 당기순 손실을 계산하면 같게 나온다

기말 B/S 등식 :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말자본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회계에서 대차평형의 원리 ( 평균의 원리 )= 대변과 차변이 항상 같아야 한다 .

1). 회계순환이란 : 거래발생에서 재무제표 작성보고까지의 과정이다 .

정보제공자와 정보이용자간의 정보전달과정이다

2). 거래 ( 회계 ) 순환의 절차

⑴ 기중절차 : 거래가 발생하면 식별하여 à 장부 인 분개장에 기입하고 , 중요한 것은 보조장에 기입한다 . à 총개정원장 ( 계정과목별 : 각 항목별로 기록하는 원장 ). 또한 필요한 사항은 보조원장에 기록

① 예비절차 : 시산표작성 . 재고조사표작성 . 결산수정 . 정산표작성 .

② 결산본절차 ( 장부마감 ) : 총계정원장의 수익비용계정 . 자산 , 부채 , 자본계정마감 ( 대차대조표 ). 분개장마감 . 기타 보조원장 . 이월시산표작성 ( 기말부채 . 기말자산 . 기말자본의 이월시산표 ).

③ 재무제표의 작성 : 대차대조표작성 . 손익계산서작성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또는 결손금처리

계산서작성 . 현금흐름표작성 . 자본변동표작성 및 주석 .

기업이 경제활동을 통해서 발생한 일정기간 동안의 수익총액과 비용총액을 비교하여 손익을 계산하는

손익법 è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준손익

⑵재산법 ( 자본유지접근법 : 자본끼리 비교한 것 )

기업의 경영활동을 통해 발생한 기말시점의 기말자본을 기초자본과 비교하여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 .

재산법 è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손익 .

영업과 관계없이 출자자가 돈을 더 투자하는 것 . è 자본에서 상계한다 .

즉 . 영업과 관계없이 기말자본이 더 늘어나는 것이다 .

감자 ( 인출 , 배당 ): 손실에서 상계한다 .

※회계상거래란 : 기업의 자산 , 부채 , 자본 , 수익 , 비용의 증감 변화를 일으키는 모든 항목 . 즉 . 기업의 경제적 상태에 변화를 주는 요인이다 . 자산 . 부채 . 자본은 기업의 재산이다 .

당기순이익 계산 방법

PER (주가 수익) 와 EPS 그리고 현재의 주식의 가격을 가지고 찾을 수 있습니다.

쉽게 클릭 몇번으로 확인도 가능 하고요. 그런데 어떻게 재무재표에서 확인을 할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찾아 보았습니다.

PER =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EPS)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주식발행수

PER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단 EPS를 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주식에 대한 책에서 재무제표를 잘 본다고 주식에서 꼭 성공한다고 말 할 수 없다고 한거 같내요.

위의 사진을 보면 EPS 와 PER에 대한 부분이 계산 되어 있고 계산기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너무 쉽죠? 의미만 파악하고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궁금해서 찾아 보고, 어느 숫자를 나누었는지 확인을 해 보았습니다. 몇일 동안 고민하던 부분입니다. 그냥 받아 먹기만 하면 안될거 같은 생각이 들어서 PER,EPS계산 하기 입니다.

주식의 숫자를 알고 싶어서 주식의 총수를 찾았습니다. 주2)를 보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로 인해서 (주)LG이노텍 보유 주식을 처분 하였습니다.

유통되고 있는 주식은 77,000,000 입니다.

연결 재무제표에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를 찾아서 주당이익을 찾았습니다.

제 49기에서 주당이익은 1,729 입니다. 총포괄손익으로 나누었더니 약 1,800이 넘게 나오더군요. 그래서 최대한 근사치의 값을 찾아서 값을 나누었습니다. 비지배지분을 뺀 값이 당기순이익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나누었더니 1,728.9 가 나왔습니다. 9를 반 올림해서 1,729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회계] 2.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Lesson 3 :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한 몸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1. 자산 또는 부채의 변화로 자본이 줄거나 증가하는 변화가 생기는 거래 -> 손익거래

2. 자산 또는 부채에 변화가 생겼지만, 자본에는 아무 변화가 없는 거래 -> 비손익거래

3. 자산과 부채의 변화는 '재무상태표', 손익은 '손익계산서'에 정리

* 재무상태표 : 해마다 누적해서 기록

* 손익계산서 : 결산 후 PER,EPS계산 하기 다음 해 초부터 다시 제로(0)에서 출발

자료 : 블로거 혜원쌤( https://blog.naver.com/lhw0234/221338072791 )

-> 손익계산을 통해 산출된 이익은 재무상태표 자본 내 이익잉여금으로, 손실은 결손금 (-이익잉여금)으로 입력됨.

Lesson 4~5 : 손익계산하기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 -> 법인세차감전이익과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ㅡ> 손익계산 1단계

영업이익 ㅡ> 손익계산 2단계

법인세차감전이익(세전이익) ㅡ> 손익계산 3단계

당기순이익 ㅡ> 손익계산 PER,EPS계산 하기 4단계

※ 매출총이익을 구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

원재료 투입해 에어컨 생산 : 제품

직접 제조하지 않고 완성된 에어컨 외부에서 구매해 판매 : 상품

제품, 상품 상관없이 판매를 위해 회사 물류창고에 입고된 것 : 재고자산

2. 제조원가와 매출원가

1) 제조원가 : 제품의 원가

예) 에어컨 10대 생산 시 필요한 비용 : 재료비 1,000만원 / 인건비 500만원 / 감가상각비 500만원

=> 총 제조원가 2,000만원 / 1대당 제조원가 200만원

2) 매출원가 : 매출이 발생한 제품의 원가(판매대수 x 제조원가)

예) 생산된 에어컨 10대 중 6대 판매 시 매출원가 : 200만원 x 6대 = 1,200만원

남은 4대는 재고자산(대당 장부가겨 200만원) / 재고자산은 팔려야 매출원가로 전환

-> 손익계산서에 매출에 대응해 매출원가 기재, 제조원가는 기재 X

예) 에어컨 회사 : 6대 판매, 판매가 250만, 제조원가 200만

영업수익(매출) = 6대 x 250만 = 1,500만

매출원가 = 6대 x 200만 = 1,200만

매출총이익 = 300만

손익계산 2단계 : 영업이익 계산

매출총이익 - 판관비 = 영업이익

기업에서 생산한 에어컨을 판매하려면 영업/마케팅 등 판매 조직 필요

+ 경영, 재무, 홍보,연구개발 등 부서도 필요

=> 이들에 대한 급여, 광고홍보비, 판매수수료, 연구개발비, 감가상각비 등이 모두 판매비 및 관리비PER,EPS계산 하기 포함 (판관비)

손익계산 3단계 : 세전이익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세전이익(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이익 : 물건, 서비스, 콘텐츠 등을 팔아서 얼마나 남겼는지를 나타냄

영업외수익 : 기업의 주된 경영활동이 아닌 다른 활동 으로 벌어들인 수익

ex) 주식투자로 이익 낸 '투자주식처분이익', 현금 예치해서 받는 '이자수익', 기계 설비를 장부가보다 비싸게 팔아서 생긴 '유형자산처분이익' 등

영업외비용 : 기업의 주된 경영활동이 아닌 다른 활동 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비용

ex)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투자주식처분손실, 유형자산처분손실 등

1) 장부가 5천원 기계설비 6천원에 매각 -> 유형자산처분이익 1000원

2)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2000원

*영업외수익(1000+3000) - 영업외비용(2000) = 2000원

손익계산 4단계 : 당기순이익

세전이익(법인세차감전순이익) - 법인세 :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 계산 방법

당기순이익과세특례 적용 법인에 대한 신고안내 :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컨텐츠 내용 참고

  • 결산
    • 재무제표 작성 : ① 당기순손익(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접대비 조정(법인세법§25) : ② 접대비 손금불산입
    • PER,EPS계산 하기
    • 기부금 조정(법인세법§24) : ③ 기부금 손금불산입
    • 대손금 조정(법인세법§19의2②) : ④ 대손금 손금불산입 * 채무보증 구상채권, 업무무관가지급금 관련 대손금
    • 대손충당금 조정(법인세법§34②) : ⑤ 대손금 손금불산입 * 채무보증 구상채권, 업무무관가지급금 관련 대손충당금
    • 과다경비등 조정(법인세법§26) : ⑥ 과다경비 등 손금불산입
    • 업무무관비용 조정(법인세법§27) : ⑦ 업무무관비용 손금불산입
    • 지급이자 조정(법인세법§28) : ⑧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 퇴직급여충당금 조정(법인세법§33) : ⑨ 퇴직급여충당금 한도초과액
    • 법인세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 ⑩ 과세표준(①~⑨의 합)×9%(12%) (조특법 §72①)
    • 농어촌특별세 계산 : ⑪ 일반법인의 세율*을 적용한 법인세 부담액과 차액× 20%* 10%, 20%, 22%, 25%
    • 법인세 신고 및 납부 (사업연도 종료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이내) : ⑫ 제출할 서류 ( 법인세 신고서,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세무조정계산서, 기타 부속서류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조세특례제한법 §72 ① 각호에 열거된 조합법인은 일반법인과 달리 다음과 같이 법인세액을 계산합니다.

      법인세액 =
      [법인세차감 전 당기순이익 + 채무보증 구상채권과 업무무관 가지급금에 대한 대손금 손금불산입(법 §19의2②) · 대손충당금 손금불산입(법 §34②) + 기부금 손금불산입(법 §24) + 접대비 손금불산입(법 §25) + 과다경비 등 손금불산입(법 §26) + 업무무관비용 손금불산입(법 §27) + 지급이자의 손금불산입(법 §28) + 퇴직급여충당금의 한도초과액(법 §33)] × 9%(12%)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