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일목균형표

이번엔 기술적 분석 보조지표 중 “일목균형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본의 일목산인 이라는 사람이 시장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수단으로 여러가지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차트에 넣어 시장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지표입니다.

시장에서는 항상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공존하게 되므로 누가 산다거나 혹은 누가 판다고 주가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매수세력과 매도세력간의 적극성 즉, 균형이 어느 쪽으로 쏠려 있는지가 주가의 향방을 좌우하고 일목균형표는 시장의 균형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목균형표는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구성요소를 하나씩 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 기준선 : 과거 26일 동안의 최고치 + 과거 26일 동안의 최저치 / 2
  • 전환선 : 과거 9일 동안의 최고치 + 과거 9일 동안의 최저치 / 2
  • 선행스팬1 : 오늘의 전환선 + 오늘의 기준선 / 2
  • 선행스팬2 : 과거 52일 동안의 최고치 + 과거 52일 동안의 최저치 / 2
  • 후행스팬 : 오늘의 종가를 26일 앞에 기록

예를 들어 지난 26일간 최고가가 12000원 최저가가 10000원 이었다면 기준선은 11000원이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되는 것입니다. 최고가와 최저가를 제외한 다른 가격은 필요 없으므로 기준선부터 선행스팬2 까지의 가격은 매우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기준선은 추세 혹은 시장 균형의 기준이 되는 역할로 기준선이 상승세라면 현재의 추세도 상승세임을 의미합니다. 또한 주가가 기준선 위에 있으면 상승세, 주가가 기준선 아래에 있으면 하락세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기준선은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전환선의 의미는 추세의 전환을 제시합니다. 전환선이 상승하면 추세가 상승세로 전환하고 하락하면 추세가 하락합니다.

일목균형표는 너무도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가장 간단한 매매방법은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우리는 이동평균선 강의 시간을 통해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의 개념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상향돌파할 때 골든크로스라고 하여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매수의 신호로 인식하고 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때 데드크로스라고 하여 매도의 신호로 인식합니다.

마찬가지로 9일의 중간값으로 구해지는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전환선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유사하고 26일간의 중간값으로 구해지는 기준선은 장기이동평균선과 유사합니다. 바로 두 선이 교차할 때 매매타이밍이 되는 방법입니다.

차트를 보며 매매타이밍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술적 분석의 후행성을 어느 정도 극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정확한 이해를 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역효과를 낸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검색조건 : 시가총액 100억 이상, 일목균형표[9,26,52]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
(제외종목 : 관리종목, 거래정지, 정리매매, 불성실공시, 투자위험예고, 우선주, 투자위험)

일목균형 지표

일목균형표는 시장의 힘의 균형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표라는 의미로 일목균형표 분석 차트는 일목균형이론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독립된 분석 도구 툴을 지원합니다.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를 의미있는 선으로 해석하며 시간론에 따른 주기와 파동론에 따른 목표치 계산도 지원합니다.

분/틱 주기일 때 활성화 되며 사용자가 직접 값을 입력하거나 콤보박스에서 값을 선택하여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차트의 N주기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차트의 설정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고정형 시세바로 현재가/대비/등락/거래량/시가/고가/저가/체결강도 항목으로 고정된 값을 표시합니다.

유동형 시세바로 현재가/거래량/체결강도/매수잔량/PER 등 28가지의 다양한 항목중 체크한 항목에 대해서 시세바에 표시합니다.

시세바 설정창에서 시세바에 표시방법 및 표시항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앤드류 추세선 : Andrew’s pitchfork 라고 부르며, 세 개의 평행 추세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장 왼쪽에 있는 점을 기반으로 오른쪽에 있는 두 점은 첫 번째 점에 대한 지지와 저항 수준을 나타냅니다. 사용법은 사용자가 의미있는 저점이나 고점을 선택한 후 (가장 왼쪽에 있어야 합니다.) 두번째와 세번째 선택점을 첫 번째 선택한 점보다 오른쪽에서 선택하면 세 개의 평행추세선이 생성됩니다. 이 때,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유의할 점은 두번째점을 저점(고점)으로 선택했다면 세번째 점은 반드시 고점(저점)으로 선택해야 합니다.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피보나치조정대 : 피보나치 되돌림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 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 drop하면, Zone 선이 생성됩니다. 피보나치 목표 가격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상승폭(또는 하락폭) 대비 23.6%, 38.2%, 50%, 61.8%에 해당하는 조정폭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Fan 추세선 : 피보나치선을 확대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에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drop하면, Fan선이 생성됩니다. Fan 선은 사용자가 연결한 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직각삼각형을 만들어 줍니다. (사각형 모양이 됩니다.) 각 직각삼각형은 피보나치선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시면 됩니다.

피보나치아크 : 피보나치 아크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에 drop하면, 활 추세선이 생성됩니다. 중앙라인 오른쪽에서 아크와 주가의 위치(저항 및 지지, 돌파)를 통해 추세를 분석합니다.

상향갠팬 : 저점이나 고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진행하는 선(Gann Line)이 중심선 역할을 하며 중심선에 일정 비율(8등분)의 대각선 (부채꼴 모양)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을 그려나가는 방법을 갠팬이라 합니다.

하향갠팬 : 저점이나 고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진행하는 선(Gann Line)이 중심선 역할을 하며 중심선에 일정 비율(8등분)의 대각선 (부채꼴 모양)을 그려나가는 방법으로 하향방향으로 작도한 하향갠팬(Gann Fans)이다)

직선회귀채널 : 시작점과 끝점의 구간내에 가격과의 차이를 일자별로 계산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추출하여 ‘최대괴리치’로 놓고 그 최대괴리치를 가감하여 직선회귀선과 평행한 두 직선(상한선,하한선)을 작도한 추세선입니다.

일목균형표 분석 [0319]

일목균형표는 시장의 힘의 균형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표라는 의미로 일목균형표 분석 차트는 일목균형이론을 쉽게 구현할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수 있도록 독립된 분석 도구 툴을 지원합니다.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를 의미있는 선으로 해석하며 시간론에 따른 주기와 파동론에 따른 목표치 계산도 지원합니다.

2. 화면설명

: 당일 데이터 조회 기능은 분 차트에서만 적용이 되며 선택 표시를 하면 해당 분 차트의 데이터를 당일 분만 조회합니다. 일봉, 주봉, 월봉에서 당일 체크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시에는 1분 차트의 당일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최종 데이터 수신 시간 및 현재가, 전일대비, 등락률, 거래량, 매도잔량, 매수잔량, 액면가, 상장주식 수 정보가 표시됩니다.

차트 조회 영역
조회 종목의 가격 추이를 나타내는 차트 및 보조지표, 분석도구가 표시됩니다. 차트 영역에 표시되는 봉차트, 보조지표, 분석도구 등은 모두 객체화 되어 있어 마우스로 클릭 시 선택 표시가 되며 선택된 상태에서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여 해당 객체를 삭제 또는 설정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차트 화면에서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면 차트 공통 메뉴가 팝업 됩니다.

차트 스타일 설정
차트 배경화면에서 마우스 더블 클릭을 하면 차트 스타일 설정 창이 팝업 됩니다. 사용자는 차트 바탕색, 글자색, 정보표시 등을 설정 변경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제공되는 차트스타일을 선택하여 타 증권사 차트스타일을 적용할 수 도 있습니다.

분석도구 설정
차트에 작도된 추세선, 수평선, 조정비율선 등 분석도구를 더블 클릭하면 분석 도구 설정 창이 팝업 됩니다. 분석도구의 선굵기, 색상 및 기타 옵션을 설정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본 차트 설정
봉차트, 선차트, 매물분석차트, P&F 차트 등 기본 차트를 더블 클릭하면 기본 차트 설정 창이 팝업 됩니다. 사용자는 기본 차트 속성을 변경하거나 합성 차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조회 시작 일자 , 마지막 일자를 지정하여 조회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3년도 주가추이만을 조회하고 싶은 경우 시작일자를 2003.1.1, 마지막일자를 2003.12.3일로 지정하시면 해당 기간의 데이터만 조회됩니다.


기간으로 표시되는 수치는 최대 조회할 수 있는 데이터의 개수이며 최초 디폴트로 500개의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일간 차트 기준으로 최대 3000개, 1분봉 기준으로 최대 3000까지 조회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조회 개수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실행하여 조회합니다.


조회로 표시되는 수치는 현재 차트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 개수로 기간 데이터 수치 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을 입력한 후 엔터키를 실행하면 차트 상에서 100개의 캔들만 조회됩니다.


기간 스크롤 바는 이전 다음 데이터를 조회하는 스크롤 바로서 이전( ), 다음( ) 버튼을 클릭 시 캔들 한 개씩 전후로 이동하며 마우스로 스크롤 바를 클릭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바는 표시 데이터를 확대 축소하는 도구 바로 마우스를 클릭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 시 조회 캔들의 개수가 확대 축소되어 한 화면에서 많은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적은 데이터를 크게 볼 경우 사용합니다.

좌표조정
마우스의 형태가 손바닥 모양으로 변경되며 차트 영역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 상태에서 좌우상하로 이동 시 차트의 좌표가 조정됩니다. 또한 Y축 영역에서 상하로 이동 시 차트의 상하 폭이 확대/축소됩니다.

주식 일목균형표으로 수익내는 방법

블로그 이미지

오늘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일목균형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조지표도 다양한 설정으로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이선을 보고 매매해야 한다고 하는 사람은 설정 방법도 알려주고 보는 사람은 설정 방법도 확인 후 사용하고 배우시길 바랍니다. 같은 이평선도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것처럼 말이죠.

* 종목은 일목균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종목추천이 아닙니다.

일목균형표의 장점은 여러가지 기준값을 선으로 보여주는 보조지표로서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동평균선 없이 이 보조지표만 활용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물론 수익률은 다르겠지만요.

위에 있는 이미지는 일목균형표에서 사용하는 지표들입니다.

전환선 : (과거 9일간의 최고가 + 과거 9일간의 최저가) / 2

기준선 : (과거 26일간의 최고가 + 과거 26일간의 최저가) / 2

후행스팬 : 금일 종가를 26일 전에 기입

선행스팬 1 : (금일 전환선 값 + 금일 기준선 값) / 2의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선 때문에 빗금 설정)

선행스팬 2 : (과거 52일간의 최고가 + 과거 52일간의 최저가) / 2의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선 때문에 빗금 설정)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의 사이 빗금으로 채워져 있는 것을 구름대라고 부릅니다.

처음에는 어떤 지표를 보시더라도 이게 뭐지 하면서 아무것도 모르는 게 당연한 겁니다. 지금 잘 쓰고 계신 분들도 마찬가지고요. 맨 처음엔 이런 거구나 하시면서 알아두시고 차트를 보시다 보면 상승하는 공통점이나 손절해야 하는 타이밍 관망해야 하거나 지지를 받는구나 등등 많이 관찰해보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보조지표가 정답은 아닙니다.

이런 지표를 사용하여 수익 내시는 고수분들도 100% 수익을 낼 수 없습니다. 승률이 높을 뿐이죠. 여러분도 다양한 지표를 알아두시고 적용해보시면서 천천히 수익률을 높이시고 수익금도 늘리시길 바라겠습니다.

구름대는 지지와 저항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죠.

구름대와 캔들이 만나는 첫 번째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 구름대로 하락한 캔들이 구름 안에서 단봉을 그리며 지지를 받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하락 추세를 멈추고 반등 후 상승하는 캔들이 구름대를 만나면서 구름대 안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을 몇 번 하다가 저항선을 뚫고 이후에 구름대를 지나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반대로 설명하면 구름대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후 구름대 하향 돌파하면 매도 이런 식으로 매매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구름대를 내려가고 지나가기만 하는 게 아니라 이렇게 구름대 위에서 지지를 계속 받으며 상승하기도 합니다.

저는 어떤 보조지표든 캔들이든 상승추세인 종목에서만 관종으로 두고 봅니다. 하락 추세는 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어떤 좋은 매매방법이 있고 어떤 수업료를 지불하고 매매방법을 배우셔도 1주 또는 10주 아니면 자신이 생각하는 소액으로 연습을 충분히 하시고 익히시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수익이 어느 정도 난다면 금액을 늘리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전환선과 기준선을 중심으로 0565 일목균형분석차트 사용하는 매매방식입니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 이탈하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이동평균선 매매법에서는 캔들과 5일선 20일선 돌파 매수 이탈 매도 같은 느낌이죠.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보조지표일 뿐 정답은 없으며, 상승추세 종목만 확인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향 추세에서는 보조지표를 볼 필요가 없습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기본적인 큰 틀에서 보시면 동그라미 부분이 매수 타이밍이며 엑스 표시 부분이 매도 타이밍이 되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렇게 보고 차트를 보면 여기가 매수인지 매도인지 고점인지 저점인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상승추세의 경우 선이 어떻게 그려지는 거며 자신만의 방법을 만드셔서 미리 예측하시고 분할매수하시길 바랍니다.

이 외에도 기준선과 선행스팬 사용방법 또는 후행스팬 사용방법 등이 있으며 똑같은 기준선으로 설정을 다르게 하여 다양한 방법과 투자자만의 기준으로 매매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