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이 높은 금융 상품
[ 부자들의 재테크 ] 금융상품 선택의 4가지 원칙
■ 수익성 확인
어느 정도의 수익률이 발생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은 금융상품을 선택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모든 금융상품의 수익률이 '예금할 때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고정되는' 확정형이라면 금융기관에서 각 상품의 종류에 따라 제시하는 금리만 살피면 된다. 그러나 '실적배당률이나 만기 시 시장금리를 적용하는' 변동형도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두고 수익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단, 변동형처럼 수익률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품도 있으므로 수익성 하나로 좋은 금융상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유동성 확인
유동성은 다른 말로 환금성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쉽게 말해 돈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을 별 다른 손해 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 특징을 말한다. 이 특징은 부동산을 비롯한 다른 투자상품과 비교했을 때 금융상품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다.
부동산은 여타 투자상품에 비해 수익성은 높지만 환금성은 떨어져 정작 돈이 필요할 때 현금화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반면 금융상품은 부동산에 비해 수익성은 낮지만 환금성이 높아 필요할 때 돈을 찾을 수 있다.
이렇듯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상품은 수익성이 낮고, 유동성이 낮은 상품은 수익성이 높다. 한번에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어렵다는 얘기다. 물론 주식이나 펀드처럼 수익성과 유동성을 골고루 갖춘 상품도 있지만 대신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요즘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동성이 높으면서도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CMA , MMF , MMDA 등이다. MMDA 는 은행에서만 가입되는 예금상품으로 CMA , MMA 보다 금리가 낮은 편이다. CMA 와 MMA 의 투자대상으로 국공채나 회사채 등에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금리가 더 높은 편이다.
진정한 부자는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돈을 필요할 때 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만큼 성공적인 자산관리를 위해 자산의 유동성은 중요한 요소이며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도 이 부분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 안정성 확인
이 말은 곧 원금이 보장되느냐 아니냐는 뜻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식이나 펀드처럼 변동성이 크고 원금을 잃을 우려가 있는 상품은 안정성이 낮고, 정기예금처럼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은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수익성이 높은 상품일수록 안정성은 떨어진다. 그러므로 원금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면 고수익을 포기하고 예금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고, 높은 수익을 우선시 한다면 원금보장이 불가능하더라도 주식이나 펀드와 같은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
그러나 안정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했다고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도 금융기관이 망하면 100% 원금 회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금융상품을 고르려면 국제결제은행(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1) , 부실여신비율, 감독당국의 경영평가 결과, 주가수준, 국제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 등을 통해 경영 상태가 양호한 금융기관을 선택하고, 또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 상품인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에 반해 주식이나 펀드는 원금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 채권 역시 만기를 채우면 원금에 약정이율까지 받을 수 있지만 발행 기관이 만기 이전에 파산하면 원금을 돌려받기 어렵다. 또한 만기 이전에 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해 원금에 손해를 미칠 수도 있다.
■ 투자기간 확인
투자한 돈을 언제 찾을 것인지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금융상품을 선택하면 손실을 볼 우려가 있다.
가령 높은 금리와 엄청난 수익률에 혹해서 가입기간이 7년이 넘는 장기상품에 투자했다고 하자. 급한 사정이 생겨 만기 이전에 해약을 할 경우 중도해지 수수료를 물어야 함은 물론, 약정금리보다 훨씬 낮은 중도해지이율을 적용받아 이자손실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는 자금지출계획과 투자기간을 일치시키는 KODEX 최소변동성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원칙을 지키고, 장기투자자금과 단기운용자금을 구분하는 등 기간을 분산해서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 지금까지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 꼭 지켜야 할 4가지 원칙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원칙들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하나의 원칙만을 적용해서는 좋은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없음을 알았다.
따라서 금융상품을 잘 고르려면 이 4가지 원칙을 유기적으로 검토하여 자신의 투자목적과 일치하는 금융상품을 찾아야 한다. 그러면 투자의 절반은 이미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투자에 성공은 높은 수익률이 아니라 원금을 지키는 것이다. 워런버핏의 투자원칙은 첫번째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이다. 두번째 원칙도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이다.
KODEX 최소변동성 (279540)
주가변동이 안정적인 종목으로 하락장에서의 손실폭을 최소화합니다.
단순 저변동성 종목 투자가 아닌 종목간 상관관계까지 고려하여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줄입니다.
기준일 : 2022.09.01 15:25: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상품 정보열기
기초지수정보
KRX 최소변동성 지수는 S&P Broad Market Index Universe를 투자대상으로 하며, 시장과 괴리가 크지 않게 유지하면서 지수의 변동성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한 지수로서, '저변동성 이상현상'을 기반으로 시장대비 안정적인 초과 수익을 추구합니다. 각 종목별 비중은 turnover, sector, factor exposure에 대한 각종 제약조건을 충족하도록 산출됩니다.
※ 본 지수는 삼성자산운용이 한국거래소 측에 개발의뢰를 하여 산출한 지수로, 한국거래소에서는 지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지수에 관해 더 궁금하신 점은 KODEX 홈페이지 Q&A 섹션, 혹은 삼성자산운용 콜센터 080-377-4777로 문의 바랍니다.
관련 자료
펀드 리포트
KODEX 리포트
수익률 / 기준가열기
투자종목정보(PDF)열기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위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KODEX 최소변동성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시중은행 대표 PB들이 꼽는 2020 유망 금융 상품은?
[한경비즈니스=이정흔 기자] 2020년 재테크 승리자는 ‘불확실성’을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에 따라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는 저성장·저물가·저금리가 고착화되는 ‘뉴 노멀’ 시대를 넘어 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높아져 예측이 어려워지는 ‘뉴 앱노멀’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지속되는 미·중 패권전쟁과 노딜 브렉시트(합의 없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한·일 갈등과 같은 정치적 변수들도 재테크 전망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넘치는 시대에 재테크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아는 것이 힘이다.’ 이미 일본 등의 국가들은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접어들었고 한국도 ‘기준금리 1%’ 시대에 접어들었다. 2020년에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얘기도 나오고 있어 ‘금리 0%’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 이상 예금과 적금을 중심으로 한 돈 불리기가 아니라 어떤 금융 상품에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 주요 은행의 자산관리(WM) 담당자와 프라이빗 뱅커(PB)들이 추천하는 ‘2020 유망 금융 상품’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방망이는 짧게 수익은 안정적으로. 인컴형 상품에 관심
최근 금융권에서는 ‘실적 바닥론’이 탄력을 받으며 2020년 초 자산 시장의 상승을 전망하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 둔화 우려가 높아지며 미국 대선 이슈 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되는 중이다. 조영오 신한PWM태평로센터 부지점장 겸 PB팀장은 “올해와 같이 상고하저의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투자 기간을 짧게 하면서 변동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고정 수익을 만들어 KODEX 최소변동성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가는 안정적인 상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채권과 배당주 등을 통해 꼬박꼬박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인컴형(고정 주식) 펀드에 관심을 가질 것을 조언했다. ‘단기 운용’에 적합한 상품으로는 ‘PIMCO 선진국 채권펀드’와 신한은행의 대출 채권 펀드를 추천했다. PIMCO는 46년의 역사를 지닌 글로벌 최대 채권 운용사로, 현재 운용 중인 자산만 1860조원에 달한다. PIMCO 선진국 채권 펀드는 수시로 환매할 수 있고 환매 수수료가 없다. 미국 등 선진국 중심으로 국공채·회사채·자산담보부채권(ABS)·주택저당채권(MBS) 등 다양한 채권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신한은행 대출 채권 펀드는 신한은행이 보유한 대출 채권 유동화 상품으로, ‘A1’ 혹은 ‘AAA’ e등급의 신한은행 매입약정 조건의 대출 채권 펀드다. 매월 발행하고 있고 양도성예금증서(CD)+0.25% 수준으로 3개월 정기 예금 대비 0.3%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안정적인 구조’의 상품으로는 5년 만기 은행 발행 신종자본증권(코코 본드)과 5년 만기 부동산 펀드를 추천했다. 코코본드는 평소엔 채권으로 분류돼 이자가 나오고 발행사가 어려움에 처하면 주식으로 바뀌는 증권을 말한다. 은행들이 자본 확충을 위해 발행하는 고금리 채권으로 원화 표시 채권과 달러 표시 채권이 있다. 원화는 3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3개월 이표, 달러는 6개월 이표다. 정기 예금 금리가 하락하며 최근 은퇴 생활자들의 주요 대안 상품으로 급부상 중이다. 원화로 투자하면 연 2%대 중·후반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고 달러로 투자하면 기대 수익률은 연 3%대다. 조 팀장은 “코코본드는 5년간 장기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 신중할 필요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꾸준한 현금 흐름을 누리면서 안정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 5% 내외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부동산 펀드’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표적인 인컴형 상품이다. 부동산 물건을 운용해 매수·매도 차익이나 임대 수수료 등을 얻고 그에 따른 배당금을 지급하는 금융 상품으로,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한다. 국내외 주식 시장과 상관관계가 낮기 때문에 지금처럼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대안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절세형 투자 상품. 원·달러 환차익, 브라질 채권투자, 롱쇼트 펀드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일수록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하다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자산 관리에서 ‘절세’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특히 2020년 ‘절세형 투자 상품’의 KODEX 최소변동성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곽재혁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이미 국내 소득세율은 최대 46.2%(주민세 포함)로, 일본·호주 등 선진국들에 가깝다”며 “무엇보다 고령화에 따른 복지비용의 증가를 감안하면 이와 같은 세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으로 가장 먼저 추천한 것은 ‘월·달러 환차익’을 활용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 경기 침체와 금융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며 안전 자산, 그중에서도 ‘달러 매입’에 관심을 보이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매매 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 또한 투자자들이 꼭 챙겨야 하는 혜택이다. 달러 매매 차익이 비과세되는 이유는 국내 개인소득세법에서 과세 대상으로 열거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있다. 달러는 원화 대비 상대 가치에 따라 투자 성과가 좌우되는 만큼 매입할 때보다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띠면 손실을 볼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곽 위원은 “향후 원·달러 환율의 단기 전망은 1150~1200원 초반에서 좁은 박스권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수출액 감소, 국내 경기 둔화, 금융 시장 불안은 환율의 상승 요인이지만 일정 수준에서는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장기적으로 원·달러 환율을 다시 낮추는 요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리스크 완화에 따른 일시적 환율 하락을 매입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이다.
브라질 채권 또한 비과세 금융 투자 상품으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과 브라질 간의 조세 협약상 각 나라의 이자와 자본 소득은 그 나라에서만 과세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현재 과세권이 있는 브라질에서는 외국인의 투자 유치를 위해 외국인 투자자에게 브라질 국채 투자에 비과세 혜택을 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브라질 채권에 투자해 얻은 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브라질 채권에 투자할 때는 신용 등급, 금리 변동 여부, 환율 변동 여부 등 세 가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먼저 신용 등급은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채권들은 정부 또는 준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만큼 브라질 국가 신용 등급에 준한다고 할 수 있다. 2019년 보우소나루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치적 안정성도 높아졌고 연금 개혁도 일정대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신용도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다. 둘째, 금리도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여서 채권 투자에 긍정적이다. 이는 브라질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고 그만큼 브라질의 소비자 물가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셋째, 환율은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와 경기 후퇴로 헤알·달러 환율은 저점에 근접해 있다. 하지만 과거 테메르 집권 시기보다 정치적 안정성이 높아 향후 전망은 부정적이지 않다. 경기 후퇴도 연금 개혁 진전과 중앙은행의 완화적 정책 기조가 소비와 투자, 외국인 투자 증가를 통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펀드 내에서 국내 상장 주식을 투자할 때 그 매매 차익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주식 투자 비중이 높아 전체 수익 중 매매 차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펀드에 가입하면 비과세 혜택의 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다. 곽 수석위원은 “다만 국내 주식은 높은 변동성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며 “같은 값이면 손실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수 있다면 더욱 투자하기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상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롱쇼트 펀드다. 롱쇼트 펀드는 향후 상승이 예상되는 주식을 사는(롱) 동시에 상대적으로 부진 또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공매도(쇼트)하는 방법으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사고 SK하이닉스를 공매도하는 롱쇼트 전략을 취하면 정보기술(IT) 경기 침체로 두 주식이 모두 폭락하더라도 펀드 성과는 플러스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롱쇼트 펀드는 어떤 경우에도 수익을 내는 절대 수익 추구형 상품인 만큼 매니저의 역량이 절대적이다. 따라서 옥석을 가리기 위해서는 우선 최소 3년 이상의 장기 성과가 검증된 펀드 중 주가지수의 상승·하락·보합 구간에서 골고루 안정적인 성과를 내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
◆변동성 커지며 ‘안전자산’ 선호. ‘채권형 펀드’, ‘리자드 ELS’ 관심
2019년에는 노딜 브렉시트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달러와 금, 선진국 채권 등과 같은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심리가 매우 강했다. 정유미 우리은행 TC프리미엄강남센터 PB팀장은 “최근 미·중 무역 분쟁이 완화 조짐을 보이며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다”며 “하지만 여전히 글로벌 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안전 자산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채권 시장은 경제가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되는 상황에서 대체적으로 선진국 채권과 회사채(하이일드와 투자 등급 우량 회사채)가 대체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2019년 하반기에 금리 인하 기조에도 글로벌 금리가 동반 상승하며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이 저조하게 나타난 적이 있다. 안전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이 약화되며 높은 변동성이 예상되는 만큼 더욱 신중하게 투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당시 수익률 방어를 가장 잘한 채권형 자산이 하이일드 펀드(고수익·고위험 채권)인 것을 참고할 만하다. 국내 채권은 10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가격 부담을 덜어내며 추가 조정 가능성이 약한 만큼 다시 투자 기회가 올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20 유망 금융 상품’으로 지수형 주가연계증권(ELS) 중 리자드형 상품을 추천한 전문가들도 많았다. ‘리자드 ELS’는 도마뱀(Lizard)이 위기 시 꼬리를 자르고 탈출하는 것처럼 하락장에서 ELS가 조기에 상환되지 못하더라도 중도에 상품을 상환할 수 있는 조건(리자드 조건)을 추가한 구조의 상품을 말한다. 변동성이 심한 장세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를 반영한 것이다. 기초 자산 지수의 1.5배 혹은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을 선택해 수익률을 높여 물가 상승률 대비에 효과적인 대안 상품이다. ELS의 기초 자산을 안전 자산인 달러로 가입할 수도 있다.
2019년에 이어 2020년에도 달러 자산에 대한 니즈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달러형 ELS를 더블 리자드형으로 가입하면 조기 상환 시 환율 상승기에 맞춰 환차익(비과세) 효과를 노려볼 수 있다. 정 팀장은 “이때 조기 상환되지 않고 장기간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상품을 선정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기초 배리어와 리자드 간의 범위가 10% 이상의 갭을 가진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비과세와 절세 상품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도 내 비과세는 1인당 일시납 1억원, 월납 150만원에 가입할 수 있고 요건을 충족할 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종신형 비과세로 가입하면 요건 충족 시 평생 비과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건을 꼼꼼히 확인한 후 최대한 비과세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개인형퇴직연금(IRP)이 대표적이다. 올해 안에 불입한 금액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내 만들고 투자하는 게 이익이다. 자영업자도 희망하면 IRP에 가입할 수 있게 돼 적극적으로 활용하길 권한다. 기존 연금저축에만 가입하면 연간 400만원까지만 공제 받을 수 있지만 IRP에 가입하면 소득 크기에 상관없이 연간 최대 700만원까지(연금 상품 한도 차감) 세액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고 소득 구간에 따라 저축 금액의 13.2~16.5%까지 환급 받을 수 있다.
◆ 저금리, 저성장, 고령화 시대. 안정적 수익 기반 ‘연금 상품’ 인기
이 외에 NH농협은행의 PB와 WM담당자들은 저금리, 저성장, 고령화 시대에 안정적인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들을 집중적으로 추천했다. 복리적금과 TDF상품, 연금저축보험이 대표적이다. NH1934월 복리 적금은 만 19세부터 34세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1인1계좌)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으로 청년들의 취업과 창업을 월복리라는 특별한 금리를 적용해 청년들을 응원하는 상품이다.가입금액은 1만원에서 50만원으로 매월 자유롭게 불입이 가능하다. 가입기간은 6개월~24개월까지이며 우대금리가 최고 1.5%까지 가능하다. 급여실적, 개인사업자 계좌 실적, 비대면 채널 이체실적, 마케팅 동의 등으로 우대금리를 산정하는 만큼, 요즘처럼 저금리 시대에 높은 금리를 수령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연금상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TDF 상품은 2020년에도 꾸준히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TDF(Target Date Fund)란 퇴직 시점에 따라 위험 자산 비중을 낮춰주는 퇴직연금전용펀드다. NH-Amundi하나로 TDF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웰스파고의 자문을 통해 운용하며 적극적인 위험관리로 안정적 성과를 추구하고 있다. 연말정산에 도움을 주는 연금저축보험은 요즘과 같은 연말에 판매율이 높아지는 대표적인 상품이다. NH농협생명의 세테크 NH연금저축보험은 최저보증이율이 5년이내 1.25%이고 10년이내 1.0%로 설정돼 이율 하락시 적정 수익률 보장된다. 그리고 총급여 5500만(종합소득 4000만원) 이하일 경우 연간 400만원 한도 16.5%세액공제 가능하다. 만약 총급여액 1억2000만원 (종합소득 1억) 초과 한다면 연간 300만원 한도 13.2% 세액공제 가능하다.
하나은행에서는 초저금리 시대에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들을 중심으로 추천했다. ‘신한BNPP H2O글로벌본드’는 올해 해외채권형펀드 가운데 독보적인 수익률(13.4%)를 기록 중이다. 신한BNPP운용은 상품 개발 시 강화된 위관리 기준을 적용해 투자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했다. 이 외에 다양한 글로벌 채권에 분산투자해 안정적인 인컴을 추구할 수 있는 ‘하나UBS PIMCO 글로벌인컴펀드’와 해외 우량 채권 달러로 투자하는 단기채 상품인 ‘피델리티 인핸스드 리저브’를 추천했다.
[2020 재테크 기상도 커버스토리 기사 인덱스]
-내년 성장률 2%도 ‘간당간당’…막막한 재테크 암흑기
-2020년 유망주는 ‘삼성전자·카카오’…리서치센터장 6명 ‘강추’
-내년 해외 주식 투자, ‘마이크로소프트·알리바바’에 주목하라
-시중은행 대표 PB들이 꼽는 2020 유망 금융 상품은?
-‘투자 변곡점’ 부동산 시장, 전문가 5인 유망지역 핀셋 추천
[재테크와 금융투자] ⑤ 금융상품의 선택기준
ELS의 상환 배리어 예시 (이미지: BNP파리바 카리프생명)
3) 금융 상품 선택 행위의 특성
- 현재 소비 포기와 미래 소비 선택 행위 (미래 교환을 위해 오늘 화폐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할 것인가?)
- 불확실한 미래를 선택
- 근본적으로 위험을 수반한 경제 행위
- 선택기준 : 실물 ↔ 금융자산
2. 일반적인 선택 기준
금융상품의 일반적인 선택 기준 - 수익성, 안정성, 유동성
2.1 수익성
1) 수익성이란? 금융 상품의 가격 상승이나 배당금 또는 이자 수입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
- 예금 : 이자
- 주식투자로 인한 수익의 원천 : 주식가격 상승, 배당금
- 채권투자로 인한 수익의 원천 : 채권가격 상승, 이자
- 간접투자(펀드) : 수익률
2) 수익성 측정 : 금리, 이자율, 수익률
3) 금리의 유형 : 단리와 복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4) 수익률의 유형 : 총 수익률과 연평균 수익률, 실효수익률, 세후실효수익률
종 류 | 개 념 |
단리 |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자율과 기간을 곱해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에 의해 산정된 이자율 |
복리 | 원금에 대한 이자를 모아 원금에 가산시킨 후 이 합계액을 새로운 원금으로 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에 의해 산정된 이자율 |
고정금리 |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바뀌지 않고 지속되는 금리 |
변동금리 | 만기 이전에 적용되는 금리가 변동되는 금리 |
명목금리 | 돈의 가치변동, 즉 물가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 |
실질금리 |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 |
총 수익률 | 만기까지 받는 총수익의 투자원금에 대한 비율 |
연평균 수익률 | 만기가 1년 이상인 상품에 있어서 만기까지의 총수익률을 계약 연수로 나누어 산출한 수익률 |
만기 수익률 | 채권을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연간 평균수익률 |
실효 수익률 | 투자기간 동안 얻을 수 있는 실현총수익의 투자금액에 대한 비율을 연복리 방식을 적용하여 산출한 연간 수익률 |
세후 실효수익률 | 실효 수익률에서 세금까지 반영하여 측정한 연간 수익률 |
2.2 안전성
1) 안정성이란? 금융상품 또는 금융기관이 지닌 위험의 수준
2) 금융상품 관련 안정성 : 저축상품, 투자상품 등 금융상품 유형별로 달리 측정
- 투자원금의 손실 가능성
- 투자 위험에 대한 인식
3) 금융기관 관련 안정성 : 금융기관 파산에 따른 채무불이행 위험
4) 안전성 제고방안 : 투자 원금 보장 제도
- 예금자보호법에 의한 예금보장 상품 여부 확인
- 예금자보호법
- 금융기관이 파산 등으로 인해 고객의 KODEX 최소변동성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경우 예금자의 예금을 보호하려는 목적
- 금융기관으로부터 보험료(예금보험료)를 받아 기금(예금보험기금)을 적립한 후 금융기관이 파산 등으로 인해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대신해서 예금을 지급
- 예금보험공사에 보험료를 납부하는 5개 금융기관
- 은행, 보험회사, 투자매매업자·투자중개업자, 종합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5) 안전성 제고 방안 : 투자위험에 대한 인식
- 분산투자에 의한 위험감소 효과 제고
- 절대적 지표 : 표준편차 (자기자신의 평균에서 변화 정도)
- 자본시장선 $ E(r_p ) = r_f + [ < E(r_m ) - r_f \over σ_M >]σ_p $ → 정비례
- 상대적 지표 : 베타 (시장수익률을 기준으로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측정)
- 증권시장선 $ E(r_p ) = r_f + [ E(r_m ) - r_f ]β_j $ → 정비례
6) 안정성 제고 방안 : 금융기관 관련 안정성
- 금융기관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주요 경영지표
구분 주요 경영지표 공통사항 은행, 종합금융회사 -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 부실여신비율- 경영공시 내용
- 감독당국의 경영평가 결과
- 국제신용평과 기관의 신용등급
- 최근의 주가수준 등증권회사 영업용 순자본비율 자산운용회사 위험대비 자기자본비율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7) 수익성 vs. 안정성
수익성 vs. 안정성 - 금융상품별 평가
- 이론적 실증적으로, 수익성과 안정성은 상풍관계에 있음
미국 장기 포트폴리오 상품별 수익률과 위험의 관계, 1926년~2011년 (출처 : 모건스탠리 via Pearson Education)
8) 위험대비 수익률 측정법 : 샤프지수 (Sharpe Ratio)
- 샤프지수 (Sharpe Ratio) : 초과수익률/표준편차
- 투자포트폴리오의 총위험 1단위 당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9) 위험대비 수익률 측정법 : 트레이너지수 (Treynor Ratio)
- 트레이너지수 (Treynor Ratio) : 초과수익률/베타
- 투자포트폴리오의 체계적 위험 1단위 당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2.3 유동성 (환금성)
1) 유동성이란? (=환금성)
- 자금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보유 자산을 별다른 손해 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 정도
- 자금조달 유동성 (Funding Liquidity)
- 금융시장 유동성 (Market Liquidity) : 거래의 용이성 정도
- 유동성의 성격 : 안정성의 일종
- 유동성 ↑ (안전성 ↑) ↔ 수익성 ↓
- 유동자산 (화폐) ↔ 비유동자산 (실물)
환금성 금융상품 높음 - 은행의 시장금리부수시입출금식예금 (MMDA), 환매조건부채권 (RP), 양도성예금증서 (CD)
- 입출금이 자유로운 상품 : 보통예금, 저축예금, 가계당좌예금 등
- 만기 1년 이내의 상품 : 종합금융회사나 증권회사의 어음관리계좌 (CMA), 증권회사 및 자산운용사의 단기금융상품펀드 (MMF), 단기수익증권, 개방형 뮤추얼펀드 등낮음 - 은행의 만기 1년 이상 상품 : 저축성예금, 신탁상품 및 금융채
- 증권회사 및 자산운용사의 장기수익증권, 폐쇄형 뮤추얼펀드 등
- 보험회사의 저축성 보험상품 등3. 현실적인 선택 기준
- 인플레이션, 세금, 투자목적, 투자기간
3.1 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의 하락과 물가수준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2) 인플레이션 시대는 최근 100년의 역사임
영국의 물가지수 역사 1968~2009년 (이미지: creditcapitaladvisory.com)
미국의 물가지수 1800~2000년, 1982=100 (이미지: personal.psu.edu)
한국의 물가지수 상승 1965~2009 (이미지: 서울연구원)
3)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응할 필요성
Inflation is just like alcoholism,
in both cases when you start drinking or
when you start printing too much money,
the good effects come first, the bad effects only come later.인플레이션은 알콜중독과 유사하다.
술꾼은 술을 즐기고 있으면
자신이 정말로 알콜중독자라는 것을 인정하기 매우 어렵다.
- 밀턴 프리드먼 (Milton Friedman) -- 단기 : 미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에 대응
-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High) : 유동성 높은 자산 유지, 단기 운용 (현재 소비 중시)
- 인플레이션이 낮을 때 (Low) : 유동성 낮은 자산 유지, 장기 운용 (미래 소비 중시)
- 중장기 : 직접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금융상품 및 실물투자를 고려
- 예: 물가연동 국채, 물가연동 연금, 금·은 등 실물자산 투자
- 현실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을 헤지하는 것은 쉽지 않음
- 장기투자 시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은 수익률 제고 필요
3.2 세금
1) 금융소득 세율 (배당소득 + 이자소득)
- 이자소득에 대해 총 15.4% (이자소득세율 14% + 지방소득세율 1.4% 합산) 세율로 세금 부과
2) 금융소득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 종합과세: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동산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납세의무자의 소득을 합산하여 그 전체에 대해 과세
- 분리과세: 일부 특정한 소득금액은 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않고 분리되어, 당해 소득이 지급될 때 독립적인 과세표준에 의해 소득세를 원천징수
3) 금융소득 종합과세 : 2천만원 초과 금융소득 대상
- 절세혜택 금융상품 : 세후실효수익률 극대화 상품
- 절세혜택 부여 방식 :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 예) 비과세 + 분리과세 상품 = ISA (Individual Saving Account)
- 수익에 대해 3~5년간 2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 (초과분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
- 납입 한도는 연간 2,000만원
※ 세금 구하는 법 :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 실제 세금의 계산방법은 구체적인 소득, 세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이미지: 미래에셋 투자와 연금센터)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