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기업별 맞춤형 무역정보서비스 '마이 트레이드' 개설
한국무역협회는 기업별 맞춤형 무역정보 서비스인 '마이 트레이드'(My Trade)를 17일부터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마이 트레이드는 무역협회가 보유한 무역통계, 보고서 등 무역정보 자료, 협회 지원사업 등을 선별·분석·가공해 개별 기업에 중요한 정보만 맞춤형으로 주는 서비스다.
특히 협회 회원사에는 수출입 실적, 지원사업 신청내역 등 '자사 정보'를 제공해 교역국 및 품목, 수출입 추이와 같은 해당 기업의 무역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또 교역국과 품목이 겹치는 국내 타기업의 수출입 실적, 증가율과 자사 현황을 비교해볼 수 있다.
'맞춤형 무역정보' 메뉴에서는 수출하고자 하는 품목의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 코드 6자리만 입력하면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인구, 신용도, 수입 규모, 점유율, 세율 등을 종합해 가장 유망한 시장을 추천해준다.
추천 시장에서 해당 품목의 경쟁국, 경쟁국과 한국의 시장 점유율 등의 정보도 알 수 있다.
'추천 서비스'는 연간 1천200여건에 달하는 국내 수출 유관기관의 지원사업 중 관심 있는 품목 및 국가 정보를 선별해 알려준다. 무역 현장에서 30여년 간 해외 마케팅을 전담했던 73명의 멘토링&컨설팅(MC) 전문위원, 수출입 대행을 해주는 306개사의 전문무역상사, 관련 맞춤형 무역정보 인재 및 교육 정보를 함께 보여준다.
서비스는 무역협회 홈페이지 우측 상단 배너 또는 추천 서비스 내 링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마이 트레이드는 한국 수출국의 94%에 해당하는 전 세계 58개국의 수출입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며 "기업별로 특화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 수출 초보기업이나 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기업의 시장조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역동향 예측과 수출입 분석 정보를 통해 공공 기관의 경제정책 수립과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BIG TRADE 특징
자사 수출입 품목 대상 지표 모니터링
- 당월 수출액, 전월 대비 증감률, 맞춤형 무역정보 전년동월 대비 증감률
- 기간, 품목, 연관 품목, 국가별 수출입 현황 비교
자사 대비 동종업계 트렌드 분석
- 동일/동종 품목 현황 비교, 국가별/공·항만별/운송수단별 현황 비교
- 지역특화 산업별 수출입 지수 비교
- 주요산업 수출입 증감률 비교, 지역 X대 산업 트렌드
유사산업 지자체간 수출입 현황 분석
- 동종 산업군 지자체간 비교, 유망 수출품목 비교 분석
- 지자체와 민간기업 등 사용자별 관심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 국가/지자체간 비교분석, 동종업계 대비 자사 실적 비교 맞춤형 무역정보 등 (월/분기/년 단위)
AI 기반 수출입 예측정보를 품목별, 국가별, 산업별로 제공
-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활용한 수요예측, 이상치 탐지 서비스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시각화 및 리포트 생성 서비스 맞춤형 무역정보 제공
- 사용자가 선택한 수출입 정보를 자동으로 리포팅하여 분석보고서를 생성 및 서비스 제공
BIG TRADE 기대효과
주요 산업 수출입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 지자체 주력 산업의 수출입 통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주력 산업 육성 및 수출지원 정책 강화
- 국가 전체 및 타 시도를 비교해 산업 육성 및 수출 정책 수립 근거로 활용
지자체 입주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지원
- 지역정보 기반의 수출입 분석을 통해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방향성 제공
자사 수출입 정보 관리 용이
- 실시간 자사의 수출입 정보와 관련 산업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수출입 신고 관련 오류 조기 발견
- 기업의 맞춤형 통계와 무역경기에 특화된 예측정보를 활용하여 투자판단 정보로 활용
- 빅데이터 기반의 무역정보 패턴 부석, 수요 예측 정보 및 동종업계 비교 정보를 활용하여 경쟁력 향상
BIG TRADE 제품 이미지
㈜가이온 ㅣ 사업자등록번호 204-86-02491 ㅣ 대표자 강현섭 ㅣ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02-2051-9595 l Fax. 02-2051-9596 l Email. [email protected] l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22 한신인터밸리 11층
맞춤형 무역정보
비주얼 IT
부가서비스
서비스 안내
패밀리 미디어
무역협회, 맞춤형 해외시장정보 '마이 트레이드' 서비스 개시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는 17일부터 기업별 맞춤형 무역정보 서비스 '마이 트레이드' 시행에 들어간다.
마이 트레이드는 무역협회가 보유한 무역통계, 보고서 등 무역정보 자료, 협회 지원사업 등을 선별, 분석, 가공해 개별 기업에 중요한 정보만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협회 회원사에는 수출입 실적, 지원사업 신청내역 등 자사 정보도 제공한다.
회원사 전용 서비스 '자사 정보'에서는 교역국 및 품목, 수출입 추이 등 자체 시스템이 없으면 파악하기 힘든 해당 기업의 무역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또 교역 국가 및 품목이 동일한 국내 타 기업의 수출입 실적과 증가율 등을 비교할 수 있어 자사의 객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맞춤형 무역정보' 메뉴에선 수출하려는 품목의 HS(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 코드 6자리만 입력하면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인구, 신용도, 수입규모, 점유율, 세율 등을 종합해 가장 유망한 시장을 추천해준다. 추천한 시장에서 해당 품목의 경쟁국, 경쟁국과 한국의 시장 점유율 등의 정보도 알 수 있다.
'추천 서비스'에서는 연간 1200여건에 달하는 국내 수출 유관기관의 지원사업 중 관심 있는 품목 및 국가 정보를 선별해 추천한다. 무역현장에서 30여년 간 해외 마케팅을 전담했던 73명의 MC(멘토링&컨설팅) 전문위원, 수출입 대행을 해주는 306개사의 전문무역상사, 관련 인재 및 교육 정보도 함께 보여준다.
박강표 무역협회 무역빅데이터실장은 “마이 트레이드는 우리 수출국의 94%에 맞춤형 무역정보 해당하는 세계 58개국의 수출입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면서 “기업별로 특화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 수출 초보기업이나 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기업들의 시장조사 비용을 크게 절감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협회는 마이 트레이드를 시작으로 무역 빅데이터 플랫폼과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등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법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무역협회가 14일 ‘무역빅데이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기계신문] 한국무역협회가 14일 ‘무역빅데이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서비스는 무역정보포털인 KITA.net, 협회의 기업 간(B2B) 온라인 거래알선 플랫폼인 트레이드코리아, 무역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각각 이용할 수 있다.
‘무역빅데이터 서비스’는 협회의 지원 사업과 각종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의 과거 이력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협회가 제공하는 보고서, 맞춤형 무역정보 세미나, 지원사업 등 45만 건 이상의 무역 콘텐츠 중 고객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자동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KITA.net에서는 이용자의 관심 업종·국가에 따라 관련 뉴스와 보고서를 맞춤형 무역정보 추천하는 ‘맞춤뉴스’, 지원사업 및 서비스 이력에 따라 전시·상담회, 설명회 등을 추천하는 ‘추천 사업’, 이용자가 필요할만한 자금지원·통번역 서비스 등 협회의 각종 서비스를 추천하는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 무역아카데미 내 무역빅데이터 서비스
트레이드코리아에서는 이용자가 찾아본 상품에 관심을 가졌던 다른 이용자들이 검색해본 상품들도 자동으로 추천하고, 무역아카데미에서는 이용자와 유사한 학습 패턴의 이용자들이 수강한 과정 등을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무역협회 박강표 무역빅데이터실장은 “이제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직접 찾아다니지 않아도 관심 있을 만한 정보와 서비스가 더 편하고 빠르게 제공될 것”이라며 “앞으로 인공지능(AI) 바이어 매칭 등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