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운용
ETF 순자산 1년 만 52조→72조···미래, 13.6조 급증
삼성, 2조 증가 그쳐···점유율 격차 26.7%p→3.9%p
"테마형 ETF 상품 집중···장기투자·연금 라인업 강화"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의 전통적 '맞수'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간 점유율 격차가 3%대까지 좁혀졌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다양한 테마형 상품에 집중하며 추격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삼성자산운용도 20년간 유지하던 선두 수성에 주력하고 있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국내 ETF 순자산 총액은 72조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73조9675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1월 말 70조7549억원으로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72조원대를 회복했다.
ETF 시장에서의 '투톱'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시장 점유율 다툼은 단연 주목된다. 삼성자산운용이 내놓은 ETF들의 순자산 총액은 29조6371억원이다. 전체의 41.1%를 점유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순자산은 26조7674억원으로 점유율 37.2%를 기록했다. 두 곳의 격차는 불과 3.9%로 사상 최저 ETF 맞수 각축···삼성운용-미래에셋 점유율差 3%대 - 서울파이낸스 수준이다.
미래에셋운용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삼성자산운용을 턱밑까지 쫓아오고 있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미래에셋운용의 순자산은 13조1686억원, 점유율 25.3%에 불과했다. 삼성자산운용(27조506억원, 52.0%)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하지만 이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고, 지난해 11월 말 마침내 7.8%로 한 자릿수로 좁혀졌다.
1년여 사이 순자산이 13조6000원 증가하고, 점유율도 11.9%가량 상승했다. 이 기간 국내 ETF 전체 순자산은 52조365억원에서 20조원 이상 불어났는데, 65%가량은 미래에셋운용의 증가분인 셈이다. 반면 삼성자산운용은 2조원 늘어나는 데 그쳐 선두 자리가 위태롭게 됐다.
미래에셋운용 약진 배경으로 다양한 라인업의 테마형 ETF 상품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지난 2020년 12월 상장한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은 순자산총액은 지난달 말 기준, 3조4211억원에 달한다. 이외 'TIGER 미국나스닥 100'(2조687억원), 'TIGER 미국S&P500'(1조3835억원) 등에도 많이 자금이 몰렸다.
미래에셋운용은 이 기세를 몰아 20년간 왕좌를 지켜온 삼성운용의 아성에 도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인사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꾀했다. 지난해 최창훈 부회장과 이병성 부사장 '투톱' 체제를 구축한 미래에셋운용은 타사에서 인재를 잇달아 영입, 임원을 113명으로 늘렸다. 전체 임직원(542명) 중 20.85% 비중을 점유한다.
미래에셋운용 관계자는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해외 비중이 높다 보니 국내 시장 영향을 덜 받아 점유율도 증가했다"며 "다양한 테마형 ETF 상품을 시장 상황과 투자자 수요에 맞춰 내놓는 등 자신있는 부분에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1인자' 아성이 위태로워진 삼성자산운용도 선두 수성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 서봉균 삼성증권 세일즈앤드트레이딩 부문장을 새 대표로 선임하는 등 전열을 재정비한 삼성자산운용은 장기투자에 유효한 상품과 연금 부문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ETF 쏟아진다’…자산운용사, 연이어 상장 [쿡경제]
자산운용사들이 ETF를 연이어 상장했다. 삼성자산운용은 메타버스 ETF를 홍콩에 상장했고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뉴욕증권거래소에 미국 금리 관련 ETF를 상장했다. 현대자산운용은 자사 첫 ETF를 출시했다.
삼성자산운용 제공
삼성자산운용은 ‘삼성 아시아 퍼시픽 메타버스 ETF’를 홍콩 금융시장에 상장한다고 7일 밝혔다. 삼성 아시아 퍼시픽 메타버스 ETF는 빠르게 성장 중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메타버스 기업에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다.
국가별 비중은 홍콩 36.3%, 일본 24.3%, 대만 13.3%, 중국(선전, 상하이) 12.5%, 한국 10% 등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가가 골고루 구성되어 있는 점이 장점이다.
투자 종목은 온라인 게임, 소셜 플랫폼, 증강 현실, 인공지능, 콘텐츠 등 주요 메타버스 산업 관련주들이 포함된다. 이 ETF의 모델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상위 기업으로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메타버스 시장에 진출하는 일본 기업 소니(SONY) △글로벌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의 TSMC △중국의 인터넷 미디어 기업 텐센트(TENCENT)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 기업 알리바바(ALIBABA) △XR(확장현실)·TWS(무선 이어폰) 등 스마트 기기를 위탁생산하는 고어텍(GOERTEK) 등이 있다.
특히 삼성 아시아 퍼시픽 메타버스 ETF는 기존 KODEX 차이나 메타버스 ETF에 포함되지 않는 세부 테마의 종목도 담고 있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대만 다국적 서버 기업 WIWYNN △대만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 AU Optronics 등 기존 메타버스 상품에는 담기지 않았던 서버와 디스플레이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투자가 가능하다.
또한, 글로벌 메타버스 생태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 기업들을 약 25% 수준으로 담고 있어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일본 주식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게 된 점도 강점이다. 일본의 대형 게임 개발사인 △닌텐도(NINTENDO) △반다이남코(BANDAI NAMCO) 등 온라인 게임 테마를 예로 들 수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번 신규 ETF 상장으로 전세계 메타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 미국, 중국의 3개국 투자 라인업에 더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투자할 수 있는 선택지를 추가했다.
삼성자산운용은 메타버스 콘텐츠에 강한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삼성 KODEX K-메타버스 액티브 ETF’, 메타버스 플랫폼 중심의 미국 ETF 맞수 각축···삼성운용-미래에셋 점유율差 3%대 - 서울파이낸스 기업에 투자하는 ‘삼성 KODEX 미국 메타버스 나스닥 액티브 ETF’, 메타버스 디바이스 중심의 ‘삼성 KODEX 차이나 메타버스 액티브 ETF’를 출시한 바 있다.
박성진 삼성자산운용 홍콩법인장은 “아시아 메타버스 시장은 미국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측면이 있어 그만큼 성장성이 더 높은 시장”이라며 “삼성 아시아 퍼시픽 메타버스 ETF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아시아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는 차별성을 앞세워 메타버스 산업에 관심이 높은 투자자에게 새로운 선택지가 될 것” 이라고 전했다.
한편 삼성 아시아 퍼시픽 메타버스 ETF는 홍콩 주식시장이 열리는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투자가 가능하며, 종목코드 ‘03172’ 또는 ‘Asia Meta’를 HTS나 MTS 종목창에 입력해 투자할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 자회사 ‘Global X(글로벌엑스)’가 6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미국 금리 관련 ETF인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와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를 상장했다고 7일 밝혔다.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IRHG)는 장기금리가 상승하거나 금리 변동성이 ETF 맞수 각축···삼성운용-미래에셋 점유율差 3%대 - 서울파이낸스 커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채 선물 혹은 미국채에 투자하는 ETF에 대한 지불 스왑션을 매수한다.
스왑션(swaption)은 파생상품으로, 기초 자산이 금리 스왑(swap)인 옵션(option)이다. 금리 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교환하는 파생상품으로, 스왑션 매수자는 고정금리를 지불하고 변동금리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어 금리가 상승하면 수익이 발생한다.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IRVH)는 인플레이션 상승, 장단기 금리차가 벌어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 물가연동채권과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미국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은 국채의 한 종류다. 채권 이자율은 고정돼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CPI) 수준에 따라 원금이 조정돼 물가가 상승하면(인플레이션) 수익률도 올라간다.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Yield Curve Spread Options)은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수록 수익이 발생하는 옵션으로,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는 2년 및 10년물 국채 금리차를 이용하는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현대자산운용은 자사 ETF 맞수 각축···삼성운용-미래에셋 점유율差 3%대 - 서울파이낸스 첫 상장지수펀드(ETF)인 ‘현대 유니콘 R&D 액티브 ETF’를 6일 상장했다. 기업 연구·개발(R&D)에 주목하는 ETF다.
현대자산운용의 ETF 브랜드명은 ‘유니콘(UNICORN)’으로 정해졌다. 유니콘에 빗대어 현대자산운용의 전략과 경험을 펀드에 녹여 운용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해당 ETF는 기업의 R&D 역량에 주목해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 투자할 방침이다. ETF는 특정 분야나 테마, 스타일에 치우치지 않고 연구·개발이란 큰 방향성에 집중해 지속 가능한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을 찾아 초과성과를 낼 예정이다.
운용은 주식운용그룹의 이성민 상무와 이상민 과장이 맡는다. 이성민 상무는 한국투자신탁운용,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유진자산운용 등을 거치며 퀀트와 인덱스 펀드를 주로 운용했다. 이상민 과장은 키움증권 리서치팀을 거쳐 카카오페이증권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이성민 현대자산운용 퀀트운용본부장은 “지속 가능한 차별화 속성을 찾아내는 것이 액티브 투자의 본질”이라며 “기술 집약적인 산업이 주류를 이루는 우리나라 특성상 지식의 축적 정도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ETF로 이러한 기업을 찾아 발굴할 것”이라고 전했다.
[FETV=성우창 기자] 신한자산운용은 ‘SOL 차이나태양광CSI(합성) ETF’가 지난 9일 종가 기준 3개월 수익률 47.33%를 기록하며 국내 상장된 전체 598개 상장지수펀드(ETF) 중 1위를 한 달간(7월 13일~8월 9일) 유지했다고 밝혔다. 한달 간 주춤했던 중국 태양광 지수가 반등함에 따라 SOL 차이나태양광CSI(합성) ETF도 9일 하루에만 4.63% 상승하며 마감했다.
태양광 지수의 반등은 지난 8일 블룸버그와 중국태양광협회(CPIA)가 발표한 보도자료의 영향이 크다. CPIA의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태양광 신규설치 규모는 작년 동기대비 137% 증가했다. 그간 시장에서는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에 따른 소재 가격 상승과 이에 따른 원재료 부족 병목 현상을 우려했으나, 공식적인 발표로 인해 불안감이 해소된 것이다.
올해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약 91만2000톤으로 예상되며 이는 약 300기가와트(GW)의태양광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중국실리콘협회가 예상하는 2023년 폴리실리콘 생산 규모는 약 155만톤 정도이고 이는 약 500GW의 태양광 모듈에 활용될 수 있는 규모이다.
올해 말 기준 중국의 태양광 신규 태양광 설비 규모는 약 80~100GW로 미국의 15~25GW 대비 월등한 수준이다.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미국의 약 16배, 잉곳·웨이퍼 생산량은 약 20배 차이를 보이며 글로벌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을 과점하고 있다.
김정현 신한운용 ETF운용센터장은 "지난 7일 미국 상원을 통과한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태양광 등 친환경·기후변화관련 지원 및 세제혜택이 명시되어 있다"며 "지난 5월 리파워 EU 플랜(REpowerEU Plan)의 추가 계획과 미국 상무부의 태양광 패널 관세 면제 등에 이어 산업에 호재가 잇따르고 있어, 태양광 산업은 빅사이클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작년 12월 22일 상장한 SOL 차이나태양광CSI(합성) ETF는 국내 유일의 태양광 섹터 ETF로 글로벌 태양광 1위인 중국의 태양광 밸류체인 기업 50종목에 분산 투자한다. 수익률은 연초 이후 3개월, 6개월각각 6.84%, 47.33%, 23.22%를 기록 중이다.
미래에셋Global X가 인수한 호주 ETF Securities 전경.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호주 ETF 운용사 ‘ETF Securities’를 인수했다고 15일 밝혔다. ETF Securities는 혁신적인 테마형 상품으로 호주 ETF 시장을 선도하는 ETF 전문 운용사로 미래에셋 ETF의 방향과 일맥상통해, 성장성이 높은 호주 ETF 시장에서 ETF 비즈니스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lobal X(글로벌엑스)’도 ETF Securities 인수에 참여했다. 국내 운용사의 해외 ETF 운용 자회사가 해외 ETF 운용사 인수에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Global X는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 ETF 운용 자회사로, ETF 운용규모(AUM)가 50조원이 넘는다. Global X가 ETF Securities 인수에 참여함으로써 미래에셋은 해외법인 수익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거듭났다.
미래에셋은 금번 인수를 통해 호주 시장 투자를 확대한다. 미래에셋은 2013년 호주 시드니 포시즌스 호텔을 3,800여억원에 매입했으며, 2016년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 호주법인을 설립했다. 미래에셋은 이번 인수를 통해 급성장하는 호주 연금 시장과 ETF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예정이다.
글로벌 ETF 리서치 업체 ETFGI에 따르면 2022년 4월말 기준 호주 ETF 시장 규모는 약 119조원으로, 같은 시기 한국 ETF 시장 규모 74조원의 1.6배가 넘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일본과 중국 다음으로 크다. 이번에 인수하는 ETF Securities는 21개 ETF, 약 4조 2,400억원을 운용하는 호주 7위 ETF 운용사다.
2002년 설립된 ETF Securities는 현물로 운용하는 원자재 ETF를 시장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대표상품인 ‘ETFS Physical Gold (GOLD)’는 2003년 3월 전세계 최초로 상장된 금 현물 ETF로, 순자산이 2조 3,600억원에 이른다. ETF Securities는 금 현물 상품을 시작으로, 백금(Platinum), 은(Silver), 팔라듐(Palladium) 현물 상품을 상장했으며, 금, 팔라듐, 은, 백금 네 가지 귀금속 현물 바스켓에 투자하는 상품도 선보이는 등 호주 최대 규모의 귀금속 ETF 플랫폼을 운용하고 있다.
ETF Securities는 다양한 혁신성장 테마 ETF도 운용하고 있다. 2017년 9월에 상장한 ‘ETFS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ETF (ROBO)’는 ETF 맞수 각축···삼성운용-미래에셋 점유율差 3%대 - 서울파이낸스 로보틱스, 자동화, AI 등의 혁신 기술을 제조업, 물류산업, 보안산업 분야에 접목시킨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순자산은 2,000억원이다. 2018년 8월에는 ‘ETFS Battery Tech & Lithium ETF (ACDC)’를 상장했다. 해당 ETF는 2차전지 관련 기업과 리튬 배터리 제조에 활용되는 금속 채굴 기업에 투자하며, 순자산이 4,500억원이 넘는다.
Global X CEO Luis Berruga(루이스 베루가)는 “Global X는 ETF Securities 성장을 지원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ETF Securities와 Global X는 혁신성장 테마, 원자재 및 디지털 자산 전반에 걸쳐 호주 투자자들에게 최초의 ETF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원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혁신부문대표 김영환 부사장은 “호주 ETF 시장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주 연금 시장에서 ETF로 자금이 유입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ETF Securities는 미래에셋 및 Global X와 투자 철학을 공유해 호주 ETF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 ETF 역사는 2006년 한국거래소에 TIGER ETF 3종목을 상장하며 시작됐다. 2011년 국내 운용사 최초로 홍콩 거래소에 ETF를 상장하고 같은 해 캐나다 ‘Horizons ETFs(호라이즌스)’를 인수하며 한국 ETF의 글로벌 진출을 알렸다. 2018년에는 전세계 ETF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라이징 스타로 주목받는 ETF 운용사 ‘Global X’를 인수했다. Global X는 미래에셋 인수 당시 AUM이 10조원 수준이었으나, 2022년 5월 말 기준 50조원 이상으로 증가했다. 미래에셋은 2022년 5월말 기준 전세계 10개 지역에서 429종목, 104조원 규모로 ETF를 운용하고 있다.
0 개 댓글